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손해평가사 시험과목 총정리!

 

중장년층 관심 늘어나는 손해평가사!

손해평가사라는 자격증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퇴직 후에도 안정적인 수입이 필요한 시기가 길어지면서 많은 분들이 제2의 인생을 시작할 수 있는 자격증들에 대해서 고민이 많으십니다. 여러 가지 자격증이 있지만, 귀농에 관심이 있으셨던 분들 혹은 농사에 경험이 있는 분들이 고민해보실 만한 자격증이 손해평가사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손해평가사 시험과목

 

손해평가사라는 직업에 왜 갑자기 농촌 이야기를 하냐고요? 손해평가사는 자연재해나 병충해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농가의 손해액을 평가하고 피해사실을 확인하는 일을 하는 직업이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농업이나 농촌에 이해가 아주 없는 경우에는 시작이 쉽지 않을 수도 있지요.

 

 

오늘은 손해평가사 시험과목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익숙하지 않은 과목들이 많을 수 있는 만큼 무턱대고 공부하기 보다는 어떤 과목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고 공부 계획을 세우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손해평가사 기본정보

일단 손해평가사 시험과목을 알아보기 전에 간단한 기본정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손해평가사 응시자격에 대해 말해보면, 말 그대로 누구나 응시가 가능합니다. 학력이나 전공 제한이 없는 자격증으로 누구나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시험일정은 1차와 2차로 나뉘는데 1년에 각각 1번씩만 치뤄 집니다. 자세한 손해평가사 시험일정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손해평가사 시험일정

 

 

합격기준은 1차의 경우에 매 과목 과락없이 전체 평균 60점을 맞아야 하고 2차의 경우에도 동일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손해평가사 시험과목

자 그럼 지금부터 손해평가사 시험과목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손해평가사 1차 시험의 경우 상법 보험 편과 농어업재해보험법령, 그리고 농학개론 중 재배학과 원예작물학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두 가지의 법 관련 과목과 한 가지의 농업 관련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손해평가사 시험과목

 

일반적인 경우에 상법과 농업재해보험법령, 이 두가지 법 관련 과목을 조금 더 수월해하시고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을 많이들 어려워하십니다. 심지어 농업 관련 공부를 하신 분들도 이 과목은 범위가 너무 넓다고 하시는 경우를 본 적이 있습니다. 각 과목마다 25문제씩 출제가 되고 모든 과목 40점을 넘겨야 하기 때문에 어떤 과목도 포기를 할 수는 없습니다.

 

일단 농업재해보험법령의 경우 일단 암기를 하시다 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되고 그나마 고득점이 가능한 과목이기 때문에 이 과목을 열심히 해서 점수를 올리시고 상법 보험편의 경우도 생각보다 이해가 어려운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복 학습으로 이해도를 높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농학개론 과목의 경우 최대한 과락만은 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부를 해두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지금까지의 설명만으로도 약간 감이 오시겠지만 손해평가사 시험은 1차도 그리 만만한 시험이 아닙니다. 1차도 꽤 준비해야 하는 것이 많고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혼자 공부하기보다 강의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2차 시험의 경우에는 난이도가 정말 극히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5년래 시험 중 2차 시험의 합격률이 10% 미만이었던 적이 두 번이나 있었을 만큼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2차 시험은 농작물재해보험 및 가축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과목과 농작물재해보험 및 가축재해보험 손해평가의 이론과 실무 두 가지 과목으로 되어있습니다. 과목별 10문제가 출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차 시험은 객관식이 아니고 단답형과 서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더욱 어렵습니다. 두 과목 밖에 없는데 과락도 유의해야 하지만 어느 한 과목도 80% 이상 맞을 수 있을 정도로 쉽지는 않기 때문에 어느 한 과목의 과락 보다도 평균 60%를 맞는 것 자체도 쉽지 않습니다. 1차 시험 이후에 약 3개월 이상의 시간이 있기는 하지만 결코 쉽게 합격을 자신할 수 있는 시간은 아닙니다. 계산 문제와 더불어 서술형도 굉장히 까다롭기 때문인데요. 두 과목 모두 1차와 이어지는 과목이기 때문에 1차에서 공부를 잘해두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차 시험은 학원을 다시는 분들도 합격을 쉽게 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혼자서 준비하시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관련 전공자가 아닌 이상은 학원 강의를 통해서 합격 가능성을 올리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오늘은 손해평가사 시험과목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결코 만만한 과목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셨을 거에요. 손해평가사 시험의 난이도가 꽤 높은 데다가 1년에 한 번밖에 없기 대문에 취득이 쉽지 않습니다. 그런 만큼 합격을 하고 나면 손해평가사로 활동하고 취업을 하는 데는 다른 여타 자격증들 보다 조금은 수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